1. 데이터 타입
- 부동 소수점형 : float, double
- 논리형(boolean) : true or false / 기본값 - false (자바는 대소문자가 구별되므로 소문자로 작성)
- 문자형(char) : 변수에 하나의 문자만 저장 가능
문자는 작은따옴표로 감싸주기 & 두개의 문자는 저장X
아닐시 변수명으로 인식!
- 정수형(byte, short, int, long) : 크기가 다른 그릇 4개 / 일반적으로 정수는 int, long사용

- 실수형(float, double) : 마찬가지로 사용하고자 하는 값의 범위에 따라 선택 / 일반적으로 실수는 double 사용
- 참조형
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타입
메모리 주소가 저장 (실제 값X)
2. 정수와 실수형 표현
여러 타입을 구분하기 위해 접미사 필요
- 정수형의 표현
byte, short, int : 범위에 맞는 값 저장
long : 접미사 I or L
int i = 2,147,486,648; //[x], 이경우는 값의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에러가 난다.long a = 2,147,486,648L; //[o], 이와 같이 접미사 'l'또는 'L'을 붙여줘야 한다.long b = 23;//[x], 값의 범위 이지만 정수 23을 int형으로 간주하여 long형에 저장 못한다.long l = 2,147,486,648; //[x], 이경우는 접미사를 붙이지 않았기 때문에 에러가 난다. - 실수형의 표현
float형 : 접미사 f or F
double형 : 접미사를 붙이지 않은 실수값
float f = 4.5; //[x], 이경우는 접미사를 붙이지 않았기 때문에 에러가 난다.
//실수 4.5를 double형으로 간주하여 float형에 저장 못한다.
float c =4.5f; //[o], 이와 같이 접미사 'f또는 'F'을 붙여줘야 한다.
3. 상수
: 변수와 달리 프로그램 실행 중에 값이 바뀔 수 없다.
: 상수 선언은 반드시 값을 초기화하여야 한다.

: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~
: 여러 단어일 경우 언더바[ _ ]로 구분
: 값이 항상 일정해야 한다면? ➡️ 상수로 사용하는 것이 👍
: final double PI; //[x], 상수는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하여야 한다.
final double PI = 3.141592; //[o]
PI = 5.141592; //[x], 상수의 값은 변경될 수 없다.
'[Java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문자열 [String] (0) | 2024.08.14 |
---|---|
문자형 [char] (0) | 2024.08.14 |
변수&식별자 (0) | 2024.08.14 |
자바의 구조 (0) | 2024.08.14 |
이클립스(eclipse) 기본 사용 (0) | 2024.08.14 |